IRP계좌는 퇴직이나 이직 시에 퇴직금을 받는 계좌입니다. IRP계좌로 받은 퇴직금과 추가납입을 통해 IRP계좌를 잘 운용하면 노후에 연금으로 수령하여 여유로운 노후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불입금액 중 700만 원 한도에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으니 잘만 운용한다면 정말 노후자금 마련에 최적화되어는 계좌라고 할 수 있습니다.
IRP에서 투자할 수 있는 자산
1. 원리금 보장형(IRP 가장 많이 투자되고 있음)
- 예적금 : 은행/우체국, 저축은행(예금자 보호 한도 이내, 신용등급BBB-이상)
- ELB : 증권사의 원리금 보장상품(대부분 국공채에 투자, 원금보장+약간의 이자)
- 보험 : GIC(원금보장·고정금리 보험), 금리연동형(시중금리에 연동하여 이자를 지급하는 보험)
*금리 순위 : ELB> GIC> 저축은행> 은행 예금
원리금 보장 상품은 만기가 있습니다. 만기 후 이자는 상당히 낮다고 합니다. 따라서 재 예치해주거나 자동재 예치되는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2. 펀드(주식 비중으로 구분)
- 주식형 : 주식 비중 60% 초과
- 주식혼합형 : 주식 비중 40% 초과~60% 이하
- 채권혼합형 : 주식 비중 40% 이하
- 채권형 : 주식 비중 0%
*IRP 투자자의 실제 펀드 투자 비중 순위 : 채권혼합형> 채권형> 주식형> 주식혼합형> 기타
3. ETF(구분 기준은 펀드와 동일함)
- 주식형/주식혼합형
- 채권형/채권혼합형
- 합성
- 원자재 : 실물투자
*투자 불가능한 ETF : 원자재 선물투자, 인버스, 레버리지, 해외상장
연금저축/IRP계좌 내 ETF잔액이 급격하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2019년 4,717억 원에서 2021년 3월 기준 2조 9,316억 원으로 늘어났다고 하니 요즘 연금계좌에서 ETF 투자가 대세인 듯합니다.
4. 리츠
리츠 : 다수의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한 뒤 임대료나 매각 차익을 받는 투자상품
2020년 12월 말 기준 13개 리츠가 상장되어 있으며, 자산규모는 4조 440억 원이라고 합니다.
[투자자산별 투자]
증권 | 보험 | 은행 | ||
펀드 | O | O | O | |
실적배당보험 | X | O | X | |
거래소 상장 |
ETF | O | X | X |
리츠 | O | X | X | |
인프라 | O | X | X |
IRP계좌에서 투자 시 주의할 점
"위험자산이 전체 자산 중 평가금액 기준으로 70%까지만 투자 가능하다"
* 투자시 시장 상황의 변동으로 처음에 70:30으로 맞추어놓은 자산의 변동이 생겨 위험자산 투자한도가 70%가 넘게 되면 금융회사에서 통지가 온다고 합니다.
위험자산 (적립금의 최대 70%) |
안정형 자산 (투자한도 제한없음) |
-주식형/주식혼합형펀드 -하이일드채권펀드 -부동산/특별자산/혼합자산펀드 -ETF(인버스, 레버리지, 파생 제외) -상장리츠 |
-예/적금 -보험(GIC) -환매조건부채권(RP) -TDF(적격) -채권형/채권혼합형펀드(주식비중40%이하) -채권ETF |
TDF
1. 주식비중이 유동적-목표시점을 두고 주식비중을 낮춰가는 상품으로 퇴직연금에 한해서만 별도 취급함
- 일정 조건을 갖춘 TDF는 IRP계좌에서 100% 투자가능
- TDF하나로 IRP전부 운용 가능
- TDF하나로 자동으로 위험자산 비중 조절이 가능
2. 퇴직연금 100% 투자 가능한 TDF의 조건
- 투자목표시점이 펀드 설정일로부터 5년 이후
- 주식투자한도 80% 이내이며, 투자목표시점(은퇴시점) 이후에는 40% 이내
3. 퇴직연금 주식비중을 최대로 높이는 방법은?
30%를 안정형 자산으로 TDF를 채우고 70%를 위험자산으로 ETF 등에 배분한다.
TDF로 투자하는 비중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매년 2조 이상씩 늘어나 2020년 TDF투자 금액이 5조 2.314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ETF로만 투자하고 있는데요. 안정형 자산 30%를 TDF로 채우는 방법이 좋아 보이네요.
(자료출처:미래에셋 투자와연금)
'연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계좌에서 운용하고 있는 인기 ETF종목은? (0) | 2021.06.15 |
---|---|
연금 수령시 건강보험료의 산정에 연금소득은 얼마나 포함되나? (0) | 2021.06.09 |
IRP계좌로 퇴직금 수령 후 연금형태로 받는 방법 (0) | 2021.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