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정보

노후준비의 시작은 자기관리부터

by iruri 2021. 6. 2.

노후준비라고 하면 제일 먼저 자산관리부터 생각하지만 노후준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에 대한 관리입니다. 생각보다 긴 노후를 보내야 하는 현실에서 60·70대는 얼마든지 사회활동이 가능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건강, 자신의 전문성 개발 등 자신에게 가장 먼저 시간과 돈을 투자해야 합니다. 

 

먼저 건강관리부터 시작해라!

건강이 잃으면 모든 것이 무너집니다. 노후를 위해 그동안 알뜰이 모았던 자산도 건강을 잃으면 다 허비하게 되고 소용이 없습니다.

건강은 한번 잃으면 다시 되돌리기 힘들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누구나 알고있는 '건강할 때 건강을 지켜야 한다는 말' 그대로입니다. 건강은 건강할 때는 모르지만 건강을 잃으면 그 중요성을 절감하게 됩니다.

특히 40~50대에 어떻게 건강관리를 했는지 건강관리 성적표가 50~60대 정도에 나오는데 이때의 건강지표가 좋지 않습니다.

 

[2018년 연령별 암발생자수]

연령별 발생자수(명)
20대 이하 5,574
30대 13,269
40대 29,822
50대 49,303
60대 58,385
70대 56,410
80대 이상 31,073

 

제2의 인생을 위해 전문성을 길러라

인생이 길어지면서 은퇴 후에도 제2의 직업을 가지고 생활해야 합니다.  노후에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이라고 하는데 일자리를 통해 이 두 가지 어려움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노인이라 할지라도 60·70대에는 경제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인일자리의 대부분은 공익형 일자리입니다.

썸네일
노인 직업교육

[2019 노인 일자리]

일자리형태 일자리(단위:개)
공익활동 504,206
사회서비스형 23,548
재능나눔 47,367
민간형 시장형사업단 66,972
취업알선형 27,718
시니어인턴십 7,349
고령자친화기업 1,344
기업연계형 5,673

자신이 못다 이룬 꿈이나 평소 관심이 많았던 분야를 더욱 공부하고 준비한다면 좀 더 전문성 있는 제2의 직업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해라

인간관계 중 첫째는 직업과 관련된 인간관계로 같은 직장과 직종에 근무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입니다. 이 관계를 직업적으로 더 성장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직업적인 관계보다 좀 더 폭넓은 인간관계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자신의 역량을 더 키울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가족, 친한 친구 등과 같은 마음에 휴식과 같은 인간관계가 있습니다. 인간적인 감정의 교류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인간관계를 골고루 가지면서 좀 더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습니다. 

 

댓글